방산 클러스터 생태계 구축도
정부 공모로 진행되는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에 구미와 대전이 사활을 걸고있다.
방산혁신클러스터는 방위산업 중소·벤처 기업의 성장을 위해 방위사업청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향후 5년간 국비 245억원이 투입되어 다양한 산업 주체가 참여해 방위산업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과 기업 역량 강화를 지원하게 되며, 방위사업청은 지자체 제안서를 평가해 내달 1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처럼 정부 방산클러스터 유치전에는 구미와 대전이 뛰어들어 2파전이다.
새로 선출될 자치단체장들도 방산클러스터 유치 공약을 내걸고 유치전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대전시는 국방기관 및 방산기업 200여개가 집적해 있고 안산첨단국방융합산업단지 부각등 전방위적인 방위산업 경쟁력을 앞세워 지난 4일 유치 제안서를 제출하며 본격적인 유치전에 돌입한 상태다.
구미시도 방산클러스터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미산단에는 △방위사업청 방산기업 원스톱지원센터△국방기술품질원 유도탄약센터△구미국방벤처센터△구미방위산업발전협의회 등 방위 산업 인프라가 구축돼 있다.
특히 구미에는 ICT전자부품·기계장비·첨단소재·반도체·2차전지·초정밀가공 등 최첨단 산업이 발달한 IT기지로 국방 신산업 5대 분야 융복합에 우수한 여건과 국방 신산업 5대 분야(우주·로봇·AI·드론·반도체)’의 우수 중소·벤처 기업과 연계·육성이 유리한 곳에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 최적지라고 주장한다.
또 금오공대·구미전자정보기술원·금오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R&D(연구개발) 지원 여건이 잘 갖춰져 있고 지역 대학에선 방산분야 학과 운영등 산·학·연·관 10개 기관이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구미 방산클러스터 유치에는 대구상공회의소와 경북상공회의소협의회도 맞손을 잡았다. 지난 4월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 유치로 경북 구미 유치 건의서’를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등에 전달했다.
한편 정부의 방산클러스터 유치에 구미시는 두 차례 도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2015년 국방신뢰성센터는 대전이, 2020년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은 경남 창원이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