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전기차 대전 곧 현실 될 듯, 中 참여 업체 폭발

한국 기업들, 경각심 필요

한국과 중국 간의 전기자동차 대전이 현실로 바짝 다가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빠르면 1∼2년 내에 치열한 경쟁까지 벌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기술력이 간발의 차이로 앞선 한국 기업들이 바짝 신경을 기울여야 할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중국의 한 전기차 기업의 모델. 기술이 간단치 않아 보인다. 한·중 전기차 대전의 가능성을 말해주는 듯하다./제공=징지르바오(經濟日報).

자동차 산업 정보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의 22일 전언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내연기관 자동차 제조 기술 수준은 한국보다는 많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국제 시장에서도 가격 외에는 특별한 경쟁력이 없다고 단언해도 좋다. 하지만 중국이 선진 기술력을 상당 부분 확보한 4차산업 분야에 해당하는 전기차의 경우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단적으로 오랜 경험과 투자가 필수적인 엔진 기술이 필요 없는 현실만 봐도 좋다.

더구나 중국은 전기차 사업에 나선 기업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당장 전기차 업계 3대장으로 불리는 리샹(理想·Li Auto)과 웨이라이(蔚來·Nio), 샤오펑(小鵬·XPeng) 등을 꼽을 수 있다. 모두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업체들로 넥스트 테슬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군소업체들까지 합칠 경우 그 수를 정확하게 헤아리는 것도 쉽지 않다.

향후 뛰어들 업체들은 더 많다. 벤츠 같은 고급 승용차를 만들겠다는 야심의 지리(吉利)자동차를 대표적으로 꼽아야 할 것 같다. ‘대륙의 실수’라는 유행어를 만들어낸 주역인 샤오미(小米)도 거론해야 한다. 현재 분위기로 보면 곧 뛰어들 것이 확실하다. 이 경우 중국의 전기차 산업은 그야말로 군웅할거의 집안싸움 장(場)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경쟁력이 막강해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할 수 있다. 엄청난 시장까지 더하면 더 이상의 설명은 사족이라고 해도 괜찮다. 이에 대해 자동차 마니아인 변호사 반레이(斑磊) 씨는 “전기차 산업은 진입 장벽이 별로 높지 않다. 게다가 중국은 기본적으로 시장이 형성이 돼 있다. 굳이 해외 시장에 눈을 돌리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서 성가를 낼 경우 자연스럽게 해외 진출은 가능해진다”면서 중국 전기차 산업의 미래를 낙관했다.

중국은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블랙홀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추세대로라면 전기차 분야도 예외가 아닐 것 같다. 한국 기업들이 진짜 긴장해야 하지 않을까 보인다.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한·중 전기차 대전 곧 현실 될 듯, 中 참여 업체 폭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