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 충청권 대학들이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이하 RIS)’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올해는 ‘미래모빌리티’를 핵심분야로 두고, 교육혁신과 인재양성을 통한 지역과의 선순화 구조를 이루겠다는 각오다.
14일 충남대·교육계에 따르면 RIS사업은 지역 위기 극복을 위해 지자체와 지역이 협력기반을 구축해 대학교육혁신과 지역혁신과제를 수행하는 교육부 역점사업이다.
올해는 기존 단일형 플랫폼 중에서 다른 지자체와 연합하는 형태와 1개의 신규 복수형을 선정한다.
현재까지 1개의 복수형 사업 신청은 대전·세종·충남과 대구·경북으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지난해 ‘탈락’ 고배를 마신 만큼 올해는 선택과 화합으로 나선다는 전략이다.
특히 충청권은 ‘미래 모빌리티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며 모빌리티 ICT,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 2개 핵심분야로 방향을 설정한다.
모빌리티를 기반으로 그 속에서 각 지자체의 역량도 세분화시켰다.
△대전은 센서·통신·AI △세종은 모바일 서비스 △충남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배터리·전자부품 등 강점을 살려 모빌리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들 대학은 DSC(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공유대학을 통해 공동의 학사조직과 공동 교육과정 운영하기로 했다.
이들은 학생들에게 8개 융복합 전공 과정을 편성하며, 이수 학점에 따라 혁신 인재 800명 양성을 목표로 할 계획이다. 이는 우수 인력 확보와 청년 일자리 확보하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교육과정부터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양성해 취업으로 연결시켜며, 고등교육의 변화와 지역사회의 성장을 돕도록 할 예정이다.
올해는 지자체·기업체 등 관계기관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에는 총괄 대학인 충남대 등 23개 대학을 비롯해 21개 참여기관, 70개 기업이 참여한 협약식을 가지기도 했다. 충청권은 탑다운과 바텀업의 방식으로 지역 상생 발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진숙 충남대 총장은 “올해는 지자체-대학-기업간 충분한 의견교환으로 역점사업에 대한 방향 설정이 적극적으로 이뤄졌다”며 “이번 사업으로 인재들이 기업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기반을 높이고, 취업으로 연결시키는 선순환 구조가 이뤄지도록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지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