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둥 웨이하이 린강구: 컴퓨팅 파워 인프라 건설, 디지털 경제 발전의 강력한 동력에너지

디지털 시대에서 컴퓨팅 파워는 핵심 동력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화 전환 전략을 실시하는 과정에 웨이하이 린강구는 선진적인 컴퓨팅센터의 구축에 착수하여 관련 산업을 지속 유치하고 실물 경제와 디지털 경제를 심층 통합했으며 신형의 산업 생태를 구축했다.

산둥톈쿤과기유한회사는 린강구가 유치한 첨단 무인기 시스템 생산제조기업으로 대량의 무인기 R&D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 제품은 물류 운송, 비상 재난 구조, 스마트 농업 등 다양한 저공 경제 영역에 응용되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톈쿤회사가 시장에 출시한 무인기 수가 100개 이상에 달했으며 자체적인 비행 서비스를 진행한 무인기도 20여 개에 근접한다. 제품의 응용 시나리오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의 컴퓨팅 파워에 대한 요구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산둥톈쿤과기유한회사 차오리진 기술총괄은 “웨이하이에 폭설이 내렸다고 가정할 때, 우리 회사의 무인기를 한 대 날려 린강구의 도로 상황을 조사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의 자동차 유동량 또는 적설량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제품 응용 시나리오 중 하나이며 이를 물 한 그릇의 영상 흐름과 데이터 흐름에 맞먹는다고 할 때 이 응용 시나리오를 전반 산둥성에 적용하려면 물 100그릇에 상응한 데이터 컴퓨팅 파워가 필요합니다. 즉 더 막강한 컴퓨팅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가 있어야 합니다”라고 밝혔다.

컴퓨팅 파워는 디지털 산업 발전의 가장 근본적인 기반이며 톈쿤과 같은 저공 장비 기업은 연산 규모가 방대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소형 컴퓨팅센터를 구축하는 것만으로는 완전히 부족하다. 또한 디지털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린강구에는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는 기업 수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을 위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현지에서의 컴퓨팅 파워에 관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린강구는 중커신쿵(베이징)과기유한회사와 협력하여 린강구 디지털경제 산업단지에 중커융합컴퓨팅센터(Center For Fusion Computing)를 건설했다.

중커융합컴퓨팅센터 책임자 진러는 “데이터 출처와 가까울수록 데이터 전송 과정에 발생하는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 위성 기업의 경우 매일 테라바이트(T) 단위의 수많은 영상 데이터와 원본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데 상하이에 위치한 컴퓨팅센터를 이용하게 되면 데이터를 하루 내에 전부 전송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회사가 위치한 산업단지 내의 컴퓨팅센터를 이용하게 되면 회사 내부의 기계실에서 바로 컴퓨팅센터가 제공하는 컴퓨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라고 소개했다.

두 번의 확장을 거쳐 현재 중커융합컴퓨팅센터의 컴퓨팅 파워 규모는 500P에 도달했으며 전력계통, 스마트 제조, 저공 경제 등 분야를 위해 데이터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업의 시뮬레이션 테스트 가공 계산을 진행하고 원재료 선택, 생산 공정 등 방면의 지원을 제공하여 R&D 비용과 생산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컴퓨팅 파워라는 이 ‘도시 대뇌’를 기반으로 린강구는 고품질의 디지털 신도시 건설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디지털 관련 기업을 적극 유치하는 한편 산업망을 한층 보완 및 연장하며 공간 정보 신형 빅데이터 혁신 응용 플랫폼을 구축하고 각종 위성 등 원격 데이터, 통신, 내비게이션 등 우주 기반 데이터를 웨이하이를 포함한 산둥의 각 업종에 통합시키고 있다.

웨이하이싱왕데이터산업유한회사 더우하이레이 대표는 “기상, 농업, 해양 분야, 그리고 비상대응, 주택 건설 등 분야는 전부 항법 위성 데이터를 사용하며, 사람들이 디디 차량 호출 앱을 사용하는 것도 사실상 컴퓨터센터의 컴퓨팅 파워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수천, 수만에 달하는 응용 알고리즘을 더하면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가치가 높은 응용 프로그램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이 누적되면 린강개발구 산하의 데이터 자산으로 전환되는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디지털 응용 프로그램은 린강구의 다수의 정무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얼마 전에 출시한 특수장비 디지털 스마트 관리 플랫폼에도 AI 컴퓨팅 모형 등 선진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특수장비 간의 실시간 통신과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여 특수장비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효과적으로 줄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