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청년 내일 재단 특정 언론사 사옥 매입 검토 논란 < 정치/행정 < 기사본문

지난 달 18일 대전 청년 내일 재단 개소식에 참석한 이장우(가운데) 대전시장과 재단 권형례(왼쪽 네 번째) 대표 이사가 대전 청년 네트워크 대표, 대전 소재 대학 총 학생 회장과 총 동아리 연합 회장, 외국인 유학생 등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 달 18일 대전 청년 내일 재단 개소식에 참석한 이장우(가운데) 대전시장과 재단 권형례(왼쪽 네 번째) 대표 이사가 대전 청년 네트워크 대표, 대전 소재 대학 총 학생 회장과 총 동아리 연합 회장, 외국인 유학생 등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시티저널=허송빈 기자] 대전시가 출범 한 달을 맞는 대전 청년 내일 재단 사옥 마련을 위해 지역 특정 언론사 사옥 매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을 불러올 전망이다.

시의 특정 언론사 사옥 매입 검토는 형평성과 그 기능성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까지 나온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최근 재단 사옥 매입을 위한 예산 약 140억원 가량이 지방 재정 투자 심사를 마쳤고, 다음 주 이장우 대전시장에게 이를 보고할 계획이다.

시는 지방 재정 투자 심사가 예산 투입에 따른 행정 절차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시가 지방 재정 투자 심사를 마쳤다는 것은 재단 사옥 매입 7부 능선을 넘은 것은 물론, 이 시장에게 보고가 방침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매입을 전제로 시장 방침을 받는다면 ‘언(言)·관(官) 유착’과 ‘특혜’라는 비판과 마주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언론사의 2대 주주가 도안 신도시 도안 2단계 개발에 주력하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특정 언론사에 공공 기관 또는 그에 준하는 기관이 입주하는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2012년 대전 도시공사는 지역의 또 다른 언론사 사옥에 20년가량 입주해 있다 가까스로 옛 대신증권 대전 지점 사옥으로 이전했다.

공사는 1995년부터 2011까지 17년동안 보증금 8억 6000만원에 연간 1억 7000만원 정도의 임대료를 내고 해당 사옥 10층과 11층을 임대해 사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기간 이 언론사에 30억원 수준의 임대료를 내줬다.

이보다 앞선 2004년 당시 해양수산부는 서울에 있는 한 일간지 사옥에 4년동안 입주했다 특정 언론사 사옥에 입주해 있다는 비판 보도에 2005년 청사를 이전한 바 있다.

재단 역시 현재 사옥 매입을 검토하는 언론사 사옥에 입주해 있는 상태다.

반면 시는 현 상황이 언론사의 사옥 매입을 결정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대전 청년 내일 센터의 청년 활동 지원 공간이 이미 민선 7기부터 이 언론사에 입주해 있고, 재단과 센터의 통합 운영 등을 위해 사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 해당 언론사의 사옥이 있는 지역이 청년 가구와 1인 가구가 밀집해 있어 재단의 설립 목적에도 부합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현재 이 언론사의 사옥은 교육 시설로 건물 연 면적 약 5300㎡, 대지 면적 약 3100㎡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언론사는 현재 사옥을 시에 매각할 경우 유성구로 이전한다는 계획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