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美 GA 등과 파트너십 MOU
美 에너지부 소유 연구시설 개방
대덕연구특구 기업과 협력 도모
지역 업체 해외시장 진출 지원도
“글로벌시장 진출 기회 확대 기대”
대전시가 핵융합에너지 사업 육성을 위해 미국과 손을 잡았다.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보유하고 있는 대전은 핵융합 산업 생태계 선도도시로 도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오영국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 리처드 존 버터리 미국 제너럴아토믹스(GA) 자기핵융합에너지 그룹 부사장은 13일 기초과학연구원에서 ‘핵융합 산업협력 국제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왼쪽 세 번째)과 오영국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 네 번째), 리처드 존 버터리 미국 제너럴아토믹스(GA) 자기핵융합에너지 그룹 부사장(〃 두 번째) 등이 13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에서 한·미 핵융합 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상호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협약에 따라 미국 국립핵융합연구시설(DⅢ-D)을 한국에 개방, 연구지원을 한다. DⅢ-D는 미국 최대 핵융합 실험장치다. 미 에너지부 소유로 핵융합에너지 선도기업인 GA가 운영한다.
핵융합은 태양이 스스로 빛과 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원리이다. 두 개의 원자핵이 부딪쳐 새로운 하나의 원자핵이 되는 반응을 일컫는데,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원자핵이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에서 결합할 때 막대한 에너지가 발생한다. 현재는 실험 단계이나 무한한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가 흔히 ‘원자력에너지’라 부르는 핵분열과 정반대의 개념이다. 핵분열은 한 개의 무거운 원자핵이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더 작은 원자핵으로 분열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대표적인 핵분열 물질이 우라늄(U-235)이다. 이 기술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기도 하고 다양한 실험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핵융합 가속화 전략을 선포했고, 핵융합 상용화를 위한 국제공동 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로(ITER)’에 참여해 핵심 부품을 조달하는 등 세계적 기술력과 경험을 갖고 있다. 올해 ITER 완공이 예정돼 있으며 핵융합을 이용한 전기생산 실증은 2050년쯤으로 예상된다.
대전시는 지역 기관들이 DⅢ-D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GA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공동 사업을 추진해 대전 소재 기업 중 기술 역량과 자격을 갖춘 기업을 선별해 미국 핵융합 프로젝트에 참여시킬 계획이다.
이 시장은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전력 수급 문제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핵융합에너지는 AI 시대 전력 수급의 핵심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협약은 미국 에너지부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전국 지자체 중 대전시가 최초로 미국과의 핵융합 분야 협력을 공식 추진하게 됐다”며 “앞으로 대전 기업들이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여 매출 증대와 고용 확대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협약식에 이어 열린 ‘2025년 핵융합산업 상생한마당’에선 핵융합 분야 신기술 소개와 기술이전, 기업 수출지원, 패밀리기업 간담회, 수출전시회 등이 진행됐다.
대전=강은선 기자 [email protected]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